728x90
학교 수업 들은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함
잘 정리 된 자료들이 많지만 for 나....
1. User account 만들기
PC의 운영체제도 user가 있으나...우분투 깔면서 하나 만들어졌고 추가 할 생각도 없어서 관련 명령어들을 접해보지 않았다.
그러나 수업 실습용 서버는 여러 사람이 한 서버를 이용하므로...
유저의 추가 / 삭제
$ adduser
$ deluser
'adduser'로 유저 추가 시
$ vi /etc/passwd
$ mkdir
$ chown
들이 알아서 진행된다.
비밀번호는
/etc/passwd
/etc/shadow
위 경로에 암호화되어 저장된다
비밀번호를 바꾸는 명령어는(당연히 로그인 된 상태에서)
$ passwd
이며
현재 비번, 바꿀 비번, 확인 등의 과정을 거쳐 비밀번호가 변경된다.
2. Log in & Log out
remote access protocol 에는
telnet, rlogin, ssh 이 있는데
나는 ssh로 로그인 해보았다.
$ ssh 유저네임@서버
이렇게 로그인하면 되고... 나는 디폴트 포트 이외의 포트가 열려있어서
'-p 포트넘버' 옵션을 맨 뒤에 붙여주었다.
로그아웃 커멘드는
logout, exit 또는 ^D 가 있다.
지금 글 쓰면서 함 더 로그인해보려니까 비번이 로긴이 안된다... 교수님께서 막아두신건가...ㅎㅎㅎ
728x90
'프로그래밍 공부 > 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signal systemcall 로 Synchronus 프로그래밍 하기 (0) | 2021.11.11 |
---|---|
[Linux] 표준 입력, 표준 출력, 표준 에러 출력, 파일디스크립터 (0) | 2021.10.30 |
[Linux] scp 오류 : No such File or Directory 해결 (0) | 2021.09.26 |
[Linux] 01 시작하기 (3: Basic command) / 리눅스 기초 커멘드,명령어/ 리눅스 왕초보 (0) | 2021.09.22 |
[Linux] 01 시작하기 (2 : File System) (0) | 2021.09.19 |